loading
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for2

파이썬 for문에서 중요한 개념 파이썬 for문에서 중요한 개념 파이썬 for문에서 중요한 개념은 , for문 안에 들어온 코드가 자료구조의 데이터 개수만큼 반복된다는 것 한글 = ["가", "나", "다"] for 단어 in 한글: print("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한글이라는 리스트안에 "가", "나", "다" 3개의 요소가 들어가 있고, for문으로 한글에 포함된 단어라는 변수를 뽑아서 돌리고, 출력은 "가나다라마바사"를 3번 출력한다. 처음 이걸 봤을 때, '한글안의 단어라는 요소를 하나씩 뽑아서, 출력은 "가나다라마바사"로 한다??? 이게 무슨 소리지??? 오류나는거 아니야???' 라고 생각했다. for문을 돌리는데 중요한 것은 '요소의 개수가 몇 개인가?' 이다. .. 2022. 1. 7.
파이썬 반복문(for문) 기본 형식 반복문(for) 기본 형식 반복문의 가장 기본적인 형식은 리스트(list) 안의 요소들을 하나씩 꺼내 써먹는 것이다. 파이썬 리스트 안의 가장 작은 수, 가장 큰 수, 짝수, 홀수, 갯수, 최대값, 최소값 등을 구할 때 쓸 수 있다.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 5보다 큰 수 출력 for number in num_list: if number > 5: print(number) # 리스트 안 짝수만 출력(2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인 수만 출력) for number in num_list: if number % 2 == 0: print(number) # 리스트 안 홀수만 출력(2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이 아닌 수만 출력) for number in num_l.. 2021. 12. 20.